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기아 상태
- 우선순위
- 스레드
- fork()
- 페이지 대치
- concurrency
- 단편화
- mutex
- 페이지 부재율
- PYTHON
- 가상 메모리
- 알고리즘
- BOJ
- 교착상태
- 동기화
- 운영체제
- mips
- Algorithm
- 트랩
- 백준
- 부동소수점
- ALU
- Oracle
- 세마포어
- 컴퓨터구조
- 페이징
- 스케줄링
- 인터럽트
- 추상화
- 프로세스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31)
봉황대 in CS

PPoPP '20 XIndex | Proceedings of the 25th ACM SIGPLAN Symposium on Principles and Practice of Parallel ProgrammingPPoPP '20: Proceedings of the 25th ACM SIGPLAN Symposium on Principles and Practice of Parallel Programming February 2020 454 pages Copyright © 2020 ACM Permission to make digital or hard copies of all or part of this work for personal or classroom use isdl.acm.org Learned IndexThe ..

2022 IEEE 38th IDCE$\pi_{c}$ ), when writing, the " data-og-host="ieeexplore.ieee.org" data-og-source-url="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9835313" data-og-url="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9835313"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bW7TtA/hyTPFn0fGo/mVEl3dccKiKMzqd8jinqg0/img.png?width=200&height=200&face=0_0_200_200,https://scrap.kakaocdn.net/dn/dbZYHO/hyTSuymWv1/zYLFBq..

안녕하시와요 거의 4달 만에 블로그를 쓰는데.. 그동안 많은 일이 있었지만 줄줄이 쓰기에는 시간 아까우니 요약하자면. 그동안 그저 막연하게 백엔드 서버 개발자를 향했던 것에서 벗어나 대학원이라는 선택지를 열어두게 되었고,이번 여름방학부터 DCCL(Data Centric Computing Lab)에서 학부 연구생으로 살고 있다. 7월 3일부터 출근을 시작했으니 연구 생활을 시작한 지 이제 한 달 반 정도가 지난 것인데이전까지 교수님께서 매주 보내주시는 LSM-Tree 관련 논문들을 읽고 분석하고 있었고, 2주 전부터 주제를 받아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논문들을 읽으면서 들었던 생각은 다음과 같다.1. 해결법들은 생각보다 거창하지 않다. (알고 있던 자료구조들을 응용 또는 새로운 protocol..

* 본 글은 '컴퓨터 네트워킹: 하향식 접근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8th edition'의 내용과 2023학년도 1학기에 수강한 '컴퓨터 네트워크' 과목 강의 내용을 함께 정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현재 수강하고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 강의에서 소켓에 대한 교수님의 설명을 듣고, 소켓과 포트의 관계에 대해서 머리가 빙글 뱅글 돌게 되었다. 지난 학기에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과목을 먼저 수강한.. 어쩌다 보니 선수 과목들을 역순으로 듣고 있는 나는(다들 엇학기는 하지 마세요) 소켓과 포트에 대한 어느 정도의 기본 지식이 있었지만, 그 개념들이 다 꼬이게 되었다. 그래서 중간고사 이전에 관련 내용들을 찾아보고 다시 정리하였고, 중간고사가 끝난 이 시점..

백준 2224번을 풀며 플로이드-와샬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을 깨닫게 되었고, 이를 잊지 않기 위해서 이렇게 글로 남긴다. 플로이드-와샬 알고리즘 이 알고리즘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이전에 작성한 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알고리즘] 플로이드-와샬(Floyd-Warshall) 알고리즘 플로이드-와샬(Floyd-Warshall) 알고리즘 '거쳐가는 정점'을 기준으로 모든 정점에서 모든 정점으로의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 ↔︎ 다익스트라 : 하나의 정점에서 출발했을 때 다른 모 eunajung01.tistory.com 문제 2224번: 명제 증명 첫째 줄에 출력할 명제의 개수 X개를 출력한다. 다음 X개의 줄에 증명될 수 있는 명제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명제를 출력할 때에는 전..

* 본 글은 '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Head First Design Patterns) 개정판'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Chapter 3. 데코레이터 패턴에서의 예제 코드를 보며, 궁금증이 생겨 시도를 한 과정과 그것을 통해 깨달은 바들을 여기에 작성하려 한다. Decorator Pattern 데코레이터 패턴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다음의 링크들을 참고하길 바란다. 1. 김베어씨 정리 GitHub - IT-Book-Organization/HeadFirst-DesignPattern Contribute to IT-Book-Organization/HeadFirst-DesignPatter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2. 내 정리..

* 본 글은 '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Head First Design Patterns) 개정판'의 내용을 함께 정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GitHub - IT-Book-Organization/HeadFirst-DesignPattern: 'Head First Design Pattern'을 읽고 공부하며 정리하는 저장소 'Head First Design Pattern'을 읽고 공부하며 정리하는 저장소입니다. Contribute to IT-Book-Organization/HeadFirst-DesignPatter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소프트웨어 개발 불변의 진리 아무리 디자인을 잘한 애플리케이션이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고 성장..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