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목록2025/02/03 (1)
봉황대 in C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Floj/btsL6SIqlNd/NQOTiS4kuUuBq3kKPM4DW0/img.png)
Global cache vs. Local cache분산 환경에서 Global cache는 다수의 서버가 바라볼 수 있는 캐시를 말한다. 예를 들어, MSA 환경에서 Redis를 캐시 서버로 띄워놓고, 여러 서버들이 DB에 있는 원본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이 아니라 Redis에 캐싱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DB connection 요청을 줄일 수 있으며 Redis의 빠른 조회 성능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성능도 향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원래 DB로 가야 했던 요청이 캐시 서버로 옮겨진 것일 뿐이라, 만약 조회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하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캐시 서버가 그 부하를 모두 견뎌야 한다. 그리고 캐시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때마다 서버에서 메모리 할당이 발생하고 이후 GC가..
Server
2025. 2. 3. 23:42